늘환
헌혈 조건 모두 알아보기 (종류, 조건,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오늘은 헌혈 조건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헌혈은 아주 사람을 살리는 데 큰 도움이 되는 따듯한 나눔 활동입니다. 헌혈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약식으로 건강검진을 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헌혈을 하기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검사를 진행하는데요. 대한적십자사 혈액 관리 본부에서는 10여 가지의 기본 검사와 5가지의 추가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검사를 통해 합격한 혈액만을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수혈용으로 제공한다고 합니다. 당연히 결과를 검사하신 분들과 공유하기 때문에 나의 건강을 알 기회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헌혈에는 어떤 조건과 주의사항이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헌혈의 종류와 그에 따른 조건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의사항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헌혈 조건과 주의사항 보는 방법과 종류
헌혈 조건과 주의사항을 알기 위해서는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에 접속합니다.
사이트 첫화면에는 매일 오늘의 혈액보유량도 알 수 있고 각종 정보나 지식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상단 바에 있는 헌혈참여 카테고리의 전자문진에 들어가면 헌혈자격조건에 대한 설명이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요즘 바이러스로 인해 헌혈하시는 분들이 걱정이 많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우선 원칙적으로 잠복기가 있는 신종 전염병 방지를 위해 한 달 이내 해외를 방문한 경우 헌혈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중국을 비롯한 해외를 방문한 분들은 헌혈 장소에 출입이 제한됩니다.
또한 이번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해 문진절차를 강화하고 모든 헌혈자분들의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을 철저히 확인한다고 하니 불안은 조금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외에도 더 자세히 알기 위해 헌혈 지식 카테고리의 헌혈 과정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헌혈의 과정과 종류 및 조건에 대해 더 디테일하게 나와있습니다.
그러면 헌혈의 종류와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혈헌혈과 조건
전혈헌혈이란 혈액의 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혈장, 혈소판을 채혈하는 것으로 320ml, 400ml 두 종류가 있습니다.
나이
채혈량에 따라서 헌혈 가능 나이가 다릅니다.
320ml의 경우, 만 16세~69세까지 가능하고
400ml의 경우, 만 17~69세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단, 65세 이상이신 분은 60세부터 64세까지 헌혈한 경험이 있으신 분에만 해당된다고 합니다.
몸무게
몸무게는 남녀에 따라 기준이 다릅니다.
남자의 경우에는 59kg 이상이어야 하고
여자의 경우에는 45kg 이상이어야 합니다.
단, 400ml 전혈헌혈은 남녀 모두 50kg 이상이어야 합니다.
혈액비중
혈액비중이란 물의 양을 1로 정했을 때, 같은 양의 혈액 무게를 의미합니다.
1.053 이상 (혈색소 12.5g/dL)
혈압
수축기 혈압(최고혈압)은 90mmHg 초과에서 180mmHg 미만이고,
이완기 혈압은(최저혈압) 100mmHg 미만입니다.
참고로 건강한 분들의 평균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139mmHg, 이완기 혈압이 70~80mmHg이라고 합니다.
소요 시간
약 10분에서 15분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다음 헌혈 가능 일자
2개월 후 같은 날짜부터 다음 헌혈이 가능하지만, 연 5회까지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성분헌혈과 조건
성분헌혈은 전혈헌혈처럼 모든 혈액 성분을 채혈하는 게 아니라 혈소판이나 혈장만을 채혈하고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되돌려주는 헌혈입니다. 채혈 방법은 3종류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혈소판성분헌혈
성분채혈기로 혈소판만을 채혈하고, 그 외의 성분은 헌혈자에게 되돌려주는 헌혈입니다. (250ml 정도 채혈합니다)
혈장성분헌혈
혈장만을 채혈하고, 그 외의 성분은 헌혈자에게 되돌려주는 헌혈입니다. (500ml 정도 채혈합니다)
혈소판혈장성분헌혈
혈소판과 혈장만을 채혈하고, 그 외의 성분은 헌혈자에게 되돌려주는 헌혈입니다.
(혈소판은 250ml 정도 채혈을 하고, 혈장은 300ml 정도 채혈합니다.)
나이
성분헌혈은 혈장성분헌혈만 나이가 다릅니다.
혈소판성분헌혈, 혈소판혈장성분헌혈의 경우는 만 17세~59세까지 가능하고
혈장성분헌혈은 만 17세~69세까지 가능합니다.
단, 65세 이상이신 분의 헌혈은 60세부터 64세까지 헌혈한 경험이 있으신 분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몸무게
성분헌혈은 남녀별로 기준이 깔끔합니다.
남자의 몸무게는 50kg 이상이고
여자의 몸무게는 45kg 이상이 가능합니다.
혈액비중
1.052 이상 (혈색소 12.0 g/dL)
혈압
수축기 혈압(최고혈압)은 90mmHg 초과에서 180mmHg 미만
이완기 혈압(최저혈압)은 100mmHg 미만입니다.
총단백 수치
혈장성분헌혈과 혈소판혈장성분헌혈에 한하여 6.0 g/dL 이상입니다.
혈소판 수치
혈소판성분헌혈과 혈소판혈장성분헌혈에 한하여 150,000개/uL 이상입니다.
소요 시간
소요시간은 종류별로 다릅니다.
혈장성분헌혈의 경우 약 30~40분이 소요되고
혈소판성분헌혈과 혈소판혈장성분헌혈의 경우에는 약 1시간~1시간 30분이 소요됩니다.
전혈헌혈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헌혈 가능 일자
2주 후 같은 요일부터 다음 헌혈 가능합니다.
단, 성분헌혈(위 3종류)이 연 24회인 경우 혈소판성분헌혈과 혈소판혈장성분헌혈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헌혈 시 주의사항
헌혈 참여 카테고리에는 안전한 헌혈을 위한 팁을 볼 수 있으며 12가지의 헌혈 후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1. 헌혈 중이나 완료 후 채혈 침대에 누워 있을 때 규칙적인 호흡을 하며 발목을 꼬고 다리 근육에 힘을 주는 운동을 해줍니다. 이 자세는 헌혈 후 저혈압을 예방 자세라고 합니다.
2. 헌혈 부위를 문지르면 멍이 들기 때문에 10분 이상 눌러주고, 헌혈하신 부위가 완전히 지혈되었는지 확인해 줍니다.
3. 헌혈 부위의 반창고는 최소 4시간 이상 붙여 이물질 접촉을 피합니다.
4. 헌혈 직후에는 헌혈 장소에서 15분 이상 휴식을 취합니다.
5. 헌혈 후 탁자 근처에 앉을 경우 바닥에 양발이 닿게 하고, 그 상태에서 탁자에 팔꿈치를 대어 앞쪽으로 기대앉습니다. 이 자세는 현기증이나 바닥에 쓰러질 가능성을 줄여준다고 합니다.
6. 평소보다 3~4컵의 물을 더 섭취하여 손실된 혈액량을 보충합니다.
7. 현기증이나 구토를 유발하는 당일 음주, 1시간 이내의 흡연은 피합니다.
8. 멍이 들 수 있기 때문에 당일 등산, 과격한 운동, 놀이기구 탑승 등은 피해야 합니다.
9. 당일 가벼운 샤워는 괜찮지만, 수분 손실이 큰 사우나, 찜질방, 통목욕은 피해야 합니다.
10. 헌혈 부위에서 출혈이 되면 팔을 가슴보다 높게 들고 지혈이 될 때까지 출혈 부위를 눌러줍니다.
11. 트럭 운전사, 다이버, 높은 곳에서 작업하시는 분은 최소 12시간 이상을 휴식하고, 항공기 조종사는 최소 24시간 이상 휴식을 취하신 후 업무에 임하셔야 합니다.
12. 헌혈 장소를 떠난 후에 오심, 구토,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바닥에 주저앉아 무릎 사이에 머리를 넣거나, 가능하다면 다리를 들어 올립니다.
증상이 운전 중일 때 발생한다면 증상이 나아질 때까지 운전을 멈춰야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보통 헌혈 후 1~2시간 이내에 일어나며, 이 기간 동안에는 운전이나 기기를 작동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헌혈 후 12시간까지는 격렬한 육체 운동은 피합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헌혈의 종류와 조건,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이었습니다.
이 외에도 홈페이지의 많은 정보가 있으니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많은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글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서울시 청년수당 신청하기 (3) | 2020.04.04 |
---|---|
신세계 상품권 사용처 알아보기 (3) | 2020.03.23 |
전역자 군번 조회하는 정확한 방법 (5) | 2020.03.10 |